2009년 12월 11일 금요일

유용한 윈도우 단축키들~

윈도우도 알고보면 다양한 단축키들이 많이 있다. 단지 모를 뿐..
까먹기전에 한번 정리삼아 여기 올려두자..

윈도우키 활용하기

[윈도우키      ] 시작메뉴 부르기
[윈도우키 + C] 제어판 실행
[윈도우키 + E] 내 컴퓨터 열기
[윈도우키 + D] 바탕화면 부르기
[윈도우키 + M] 모든 창 최소화/데스크탑 잠금 실행
[윈도우키 + L] 사용자 전환
[윈도우키 + R] 실행 창 실행
[윈도우키 + F] 검색 창 실행
[윈도우키 + U] 내게 필요한 옵션 열기
[윈도우키 + F1] 윈도우 도움말
[윈도우키 + Ctrl + F] 컴퓨터 검색창 실행
[윈도우키 + Break] 시스템 등록 정보 창 실행

Alt키 활용하기

[Alt + 좌우 화살표키 ] 뒤로/앞으로 가기
[Alt + Print Screen ] 현재 활성윈도우 화면만 캡쳐
[Alt + Space ] 시스템 메뉴 호출
[Alt + Enter ] 등록 정보 보기
[Alt + F4 ] 프로그램 종료
[Alt + Tab ] 프로그램간 이동
[Alt + F ] 응용 프로그램 메뉴 호출

Ctrl키 활용하기

[Ctrl + F4 ] 프로그램종료 또는 문서닫기
[Ctrl + A ] 모두 선택
[Ctrl + C ] 복사하기
[Ctrl + X ] 잘라내기
[Ctrl + V ] 붙여넣기
[Ctrl + Z ] 실행 취소
[Ctrl + D ] 즐겨찾기 추가
[Ctrl + I ] 즐겨찾기 부르기
[Ctrl + L ] 주소창 부르기

기타 단축키들
[F1] 인터넷 도움말 실행
[F3] 파일찾기(검색)
[F4] 주소창 실행
[F5] 새로고침

--Scott

2009년 11월 27일 금요일

MRTG, MUNIN, CACTI

요 몇일동안 서버 모니터링쪽에 갑자기 관심폭발..

MRTG는 시스템 모니터링쪽에서는 전통의 강자..
가볍고 잘 어지간해선 돌릴 수 있다는 장점과 수많은 노하우들이 있긴 한데
한편으로는 설정하는거 무지하게 머리아픔.. 사실 SNMP자체가 머리아픈것도 큰 이유중에 하나일듯.

CACTI는 새로 뜨고 있는 툴 중에 하나인데 일단 그래프 이쁘게 나오고 그림만들기 쉽고 설치도 나름 쉬운편이라 좋긴 한데 다른 2가지에 비해서는 약간 리소스를 더 먹는다는게 단점이라면 단점일듯. 물론 이것도 깊게 들어가면 어렵기는 매한가지.

MUNIN은 이번주에 처음 이름 보고 한번 테스트삼아 같이 설치. 모든면에서 MRTG와 CACTI의 중간쯤인듯 싶기는 한데 CACTI처럼 이쁜 그래프가 나오면서도 나름 MRTG처럼 가볍게 돌아간다는게 장점일듯. 단점이라면 전체 기능을 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 대상에 Agent를 설치해야된다는 거 정도? 윈도우용으로는 Agent가 공식적으로는 없기 때문에 약간 편법을 사용해야 되니.. 이게 가장 큰 단점인듯 싶다.

일단 리눅스머신 하나 세팅해서 3가지 다 올려놓고 간단하게 보고 있는데 1-2주정도 더 돌려보면서 기능 추가해서 제대로 비교한번 해봐야겠다는 생각중임..ㅎㅎㅎ

2009년 11월 23일 월요일

리눅스 계보(Gnu/Linux Distro Timeline)

첫 블로그 포스팅을 뭘 할까 무지 고민하다가 요즘 한참 다시 재미를 들이고 있는 리눅스에 대한걸 한번 올려보고 싶었다.

아래 그림 원본은 http://futurist.se/gldt에 있다. 계속 업데이트 되고 있으며 2009년 3월 7일자가 현재 가장 최신판이다.

우선 한번 보자.


대충만 봐도 상당히 많은 리눅스 배포판이 있었고, 앞으로 갈수록 더 많은 배포판들이 이 그림을 채워나갈 것 같다.
머리아프게 보이겠지만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대략 3가지 - Redhat, Debian, Slackware - 의 큰 줄기와 한무리의 현재는 명맥이 끊어져 버린 90년대의 많은 배포판들을 볼 수 있다.
(참고로 리눅스 배포판이란 리눅스 배포판은 리눅스 커널, GNU 소프트웨어 및 여러 가지 자유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를 말한다.)
이 이외에도 FreeBSD같은 리눅스와는 다른 별개의 운영체제 또한 존재한다.

다양한 배포판이 존재하는 만큼 각각의 특징도 다르고 다양한 선택을 제공한다. 리눅스 운영체계를 쓰는 장점이자 단점이지 싶다. 어느것이나 다 그렇듯이 익숙해지고 나면 거기서 거기겠지만 처음 접하는 입장에서는 선택이 많을수록 머리아픈게 현실이다.

(좀더 상세한 정보를 원한다면 http://distrowatch.com/ 을 방문해볼 것을 추천한다. 대부분의 배포판에 대한 상세한 정보들이 모두 있는 곳이다.)

오늘은 여기까지만 ^^